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극천(딱복) vs. 황도(노을 피치)

대극천 복숭아와 황도 복숭아는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대극천 복숭아

  • 품종 및 모양: 유럽 납작 복숭아와 한국의 딱딱이 복숭아(경봉)를 교배하여 개발된 신품종입니다. 살짝 눌린 듯한 납작한 모양이라 '반납작 복숭아'라고도 불립니다. 크기는 일반 복숭아보다 작아 자두와 유사하거나 테니스공 정도의 크기입니다.
  • 식감: 기본적으로는 단단한 딱딱이 복숭아에 속하지만, 후숙하면 쫀득해지는 식감을 가집니다. 아삭하면서도 쫀득한 매력이 있습니다.
  • : 신맛이 거의 없고 당도가 매우 높으며 달콤한 향이 일품입니다. '복숭아계의 샤인머스켓'이라고 불릴 정도로 높은 당도를 자랑합니다.
  • 수확 시기: 1년에 단 2~3주, 혹은 약 10일 정도만 수확할 수 있는 희귀 품종으로, 수확 시기가 매우 짧습니다. 주로 6월 말에서 7월 초중순에 수확됩니다.
  • 특징: 껍질이 얇고 부드러워 껍질째 먹을 수 있으며, 껍질 특유의 떫은맛이 적습니다. 씨가 작아 과육이 풍부합니다.

황도 복숭아

  • 품종 및 모양: 껍질과 과육이 노란색을 띠는 복숭아를 통칭하는 말입니다. 다양한 품종이 있습니다.
  • 식감: 과육이 부드럽고 과즙이 풍부한 편입니다. 원래는 단단하여 통조림 등 가공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생식용으로도 많이 출하됩니다.
  • : 당도가 높고 과즙이 많으며 부드럽습니다. 백도에 비해 새콤한 맛이 강한 품종도 있습니다.
  • 수확 시기: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이른 품종은 6월 중순부터 수확되기도 하고,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에 수확되는 중생종 품종도 있습니다.
  • 특징: 황도에는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풍부하여 비타민 A가 많고,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 함량이 높아 변비 예방에 좋습니다. 베타카로틴 성분은 오일류와 함께 섭취하면 소화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대극천과 황도의 주요 차이점 요약

구분 대극천 복숭아 황도 복숭아
모양 납작한 반납작 형태, 일반 복숭아보다 작은 크기 둥근 형태, 크기가 다양함 (대체로 대과형)
식감 딱딱하면서도 쫀득함 (후숙 시), 아삭함 부드러운 과육 (가공용은 단단함)
신맛 거의 없고 매우 높은 당도, 달콤한 향 높은 당도와 풍부한 과즙, 새콤한 맛이 있는 품종도 있음
수확 시기 6월 말 ~ 7월 초중순 (매우 짧음) 6월 중순 ~ 8월 상순 (품종에 따라 다양)
특징 껍질째 섭취 가능, 씨가 작고 과육 풍부 베타카로틴 풍부, 가공용으로도 많이 쓰임
Sheets로 내보내기

결론적으로 대극천 복숭아는 독특한 납작한 모양, 쫀득한 식감, 압도적인 단맛과 짧은 수확 시기가 특징인 신품종이라면, 황도는 노란 과육과 부드러운 식감, 풍부한 과즙을 가진 일반적인 복숭아 종류입니다.

 

https://youtu.be/jO7KKCd1IXE